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종류
- 파이썬
- redshift
- 가상환경
- 데이터베이스
- AWS
- 데이터 웨어하우스
- HADOOP
- sql
- S3
- Docker
- linux
- dockerfile
- 컴퓨터네트워크
- 데이터 엔지니어링
- 운영체제
- airflow
- http
- Go
- Django
- airflow.cfg
- 정리
- PYTHON
- 데이터엔지니어링
- 데이터 파이프라인
- 데브코스
- 컴퓨터 네트워크
- TCP
- 자료구조
- TIL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네트워크계층 (1)
홍카나의 공부방

이번 글에서는 Network Layer(Layer 3)를 기준으로 source, router, desination에서 어떤 과정이 진행되는가를 알아보고, 그 외 여러 가지 서비스를 간단하게 알아본다. Source Node에서 일어나는 일 (1) Upper Layer(L4)에서 UDP 혹은 TCP의 패킷이 내려올 것이다. 이는 Protocol ID로 구분한다. (2) Network Layer(L3)에서는 먼저 user datagram이나 segment를 data part로, 다른 파라미터들은 Header part로 보내면서 (IP) Datagram을 만들어낸다. (3) 다음으로 나가야 하는 논리 주소를 Routing Table에서 찾는다. Routing Table에서는 datagram과 next-hop의 ..
Computer Network
2022. 12. 26. 0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