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dockerfile
 - 데이터 웨어하우스
 - AWS
 - 자료구조
 - Docker
 - 가상환경
 - 운영체제
 - 정리
 - 데이터 파이프라인
 - http
 - S3
 - 데브코스
 - HADOOP
 - 데이터엔지니어링
 - 종류
 - TIL
 - airflow
 - TCP
 - linux
 - Go
 - 컴퓨터네트워크
 - sql
 - 파이썬
 - PYTHON
 -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 엔지니어링
 - redshift
 - Django
 - 컴퓨터 네트워크
 - airflow.cfg
 
- Today
 
- Total
 
목록Git (2)
홍카나의 공부방
User Django의 Settings.py에 있는 django.contrib.admin과 django.contrib.auth 덕분에 기본적인 운영자 생성,인증 과정이 가능했다. shell에서 이를 더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위와 같은 'User'를 사용자가 임의로 만든 app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model에 추가할 수 있다. 다음은 특정 app의 models.py 코드 예시다. from django.db import models from time import timezone from datetime import timedelta # Create your models here. class Question(models.Model): question_text = models.CharField(max_l..
커밋 메세지 컨벤션을 하는 이유 협업 할때 상대방에게 "나 이거 했소이다." 를 명확히,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기 위함. 커밋의 안좋은 예시 커밋의 나쁘지 않은 예시 이게 best는 아님. 영어를 사용하는게 더 낫다. ✏️ Commit Type [feat] : 새로운 기능과 관련된 것을 의미한다. [fix] : 오류와 같은 것을 수정했을 때 사용한다. [docs] : 문서와 관련하여 수정한 부분이 있을 때 사용한다. [style] : 코드의 변화와 관련없는 포맷이나 세미콜론을 놓친 것과 같은 부분들을 의미한다. [refactor] : 코드의 리팩토링을 의미한다. [test] : test를 추가하거나 수정했을 때를 의미한다. [chore] : build 관련 부분, 패키지 매니저 설정 등 여러가지 prod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