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데이터 엔지니어링
- sql
- 데브코스
- dockerfile
- 데이터 웨어하우스
- 컴퓨터네트워크
- AWS
- PYTHON
- 데이터엔지니어링
- S3
- 컴퓨터 네트워크
- linux
- 종류
- 정리
- airflow
- Docker
- HADOOP
- 파이썬
- redshift
- 운영체제
- 자료구조
- TCP
- 가상환경
- http
- Django
- airflow.cfg
- Go
- 데이터베이스
- TIL
- 데이터 파이프라인
- Today
- Total
목록IPv4 (2)
홍카나의 공부방

인터넷 프로토콜(IP)은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하는 전송 메커니즘이다. IP에서 전송하는 패킷인 Ip Datagram을 살펴보자. IP Datagram ip datagram은 헤더와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고, 헤더의 길이는 20-60bytes다. 데이터그램의 전체 길이는 20-65,535 bytes로 결정된다. 헤더에서 한 줄은 0부터 31비트까지 총 32비트(4바이트) 길이를 가지며, 표준 헤더는 5개의 줄을 가지니 총 20바이트의 길이가 될 것이다. Options와 padding이 0부터 40바이트까지 추가적으로 붙을 수 있다. 위 그림에서 첫 번째 줄에 나오는 VER은 version이다. version은 ipv4냐, ipv6이냐 여부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HLEN은 Header length이다. ..

이번에는 IPv4의 주소 배분 중 Classful Addressing에 대해 정리하였다. IPv4의 주소길이 0.0.0.0으로 표현되는 IPv4의 주소체계가 사실 0.0.0.0.0.0으로 연장된다던지 주소 길이가 더욱 길어진다면 더 많은 주소를 배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more memory, more time이라는 단점이 존재한다. 주소의 길이가 더 길어지면, 패킷의 길이가 더욱 길어지거나 라우팅 테이블이 커지는 시/공간적 단점이 존재한다. IPv4가 표준화될 70년대에는 메모리의 크기가 64kb 이랬기 때문에... 메모리를 많이 사용할 수 없었다. Classful Addressing IPv4 주소를 분배하는 방법 중에는 classful addressing이 있다. 32개의 bit를 4바이트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