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redshift
- 데이터 엔지니어링
- Go
- Django
- Docker
- S3
- PYTHON
- 데이터베이스
- airflow
- TCP
- 정리
- linux
- http
- 컴퓨터네트워크
- AWS
- dockerfile
- 데이터 웨어하우스
- 가상환경
- 데브코스
- 컴퓨터 네트워크
- sql
- airflow.cfg
- 파이썬
- 자료구조
- 데이터 파이프라인
- 종류
- 운영체제
- HADOOP
- TIL
- 데이터엔지니어링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mongodb (1)
홍카나의 공부방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du7UV/btsHCzHqE83/oush6krgQvBaqfj2aHkVZK/img.png)
몽고DB는 문서 기반의 NoSQL 데이터베이스로, 굉장히 유연한 모델을 가지고 있다. 어떤 내용도 구조화될 필요 없이 저장할 수 있으며, 원하는 모든 내용을 다 저장할 수 있다! 또한 Hadoop, Spark와 통합해서 사용하면 강력한 빅데이터 활용 도구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몽고DB에는 스키마를 적용하지 않는다. 자동으로 PK 역할을 하는 ID가 만들어지며, 원한다면 인덱스를 추가할 수 있다. 하지만 모든 NoSQL이 그렇듯이 Join은 RDBMS에 비해 효율적으로 할 수 없다. 스키마의 경우 아래 코드 예시처럼 구성할 수 있으며, 기타 다른 데이터 모델링 방법의 경우 공식문서의 가이드를 참고하면 좋다.{ "_id": "user123", "name": "홍카나", "email": "hong..
Data Engineering/Hadoop
2024. 5. 27. 2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