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운영체제
- 정리
- sql
- 데이터베이스
- 종류
- Docker
- TIL
- 파이썬
- airflow.cfg
- Django
- 컴퓨터네트워크
- 데이터엔지니어링
- TCP
- 데브코스
- redshift
- airflow
- 데이터 엔지니어링
- HADOOP
- 컴퓨터 네트워크
- 자료구조
- dockerfile
- 데이터 웨어하우스
- S3
- linux
- Go
- http
- 데이터 파이프라인
- 가상환경
- PYTHON
- AWS
- Today
- Total
목록개념 (3)
홍카나의 공부방

Heap 힙(Heap)은 가장 큰 값 혹은 가장 작은 값을 바로 꺼낼 수 있도록 만든 자료구조다. 여기서 단순한 정렬 알고리즘처럼 전체 key 값에 대한 오름차순이나 내림차순 정렬이 목표가 아니라는 점을 유의하자. 스택, 큐와 내부 구조를 비교한다면 아래와 같다.스택 : LIFO큐 : FIFO힙 : 가장 큰 값(Maxheap), 가장 작은 값(Minheap)힙은 필요한 만큼만 정렬이 되어 있다. 여기서 필요한 만큼이라 하면, 본래의 목적인 가장 큰 값 찾기를 지킬 수 있는 만큼만 정렬이 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정렬이 주 목적이라면 다른 자료구조를 이용할 것을 권장한다. 구현은 Maxheap으로 진행한다. Minheap의 경우 Maxheap 구현을 약간만 바꿔주면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Tree 구..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는 특정 호스트가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한 정보들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이다. DHCP서버는 다음과 같은 4가지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는 Host가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이다.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라우터 주소 네임서버 주소 DHCP 클라이언트의 포트 번호는 68번으로, Well-Known된 번호다. DHCP 서버의 포트 번호는 67번이다. DHCP 요청과 응답 처음에 DHCP 요청을 보내는 클라이언트는 DHCP 서버의 주소를 알지 못하니, 네트워크로 BroadCast 요청을 보낸다. 그러면 DHCP 서버가 요청을 받고 DHCP 응답을 보내는데, 응답은 Unicast 전송과 BroadCast 전송 중 하나로 보낸..

Private Network(사설망) 집에서 인터넷 공유기를 사용한다면, 인터넷에 연결이 될 때 ISP와 연결이 되고 IP 주소를 '한 개' 받아오는 경우가 보통이다. (물론 이 경우,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DNS 서버 주소, 라우터 주소, Net Mask 등도 다 받아온다.) 근데 집에는 보통 IP를 필요로 하는 여러 개의 머신이 존재한다. 당장 노트북, 데스크탑, 핸드폰 등등.. 이런 것들은 다 주소를 다르게 할당해야 한다. 이를 위해 물리 네트워크 내부의 노드들에는 Private Network 주소인 사설망 주소를 할당해준다. 예시로, 192.168.0.0/16이 있다. Smurf Attack(스머프 공격) Hacker Node(H)가 Victim Node(V)에게 DoS 공격을 하려한다고 가정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