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TIL
- 가상환경
- 자료구조
- S3
- 데이터 엔지니어링
- 컴퓨터네트워크
- 데이터엔지니어링
- airflow.cfg
- 컴퓨터 네트워크
- Go
- sql
- Docker
- http
- 정리
- airflow
- PYTHON
- 데브코스
- Django
- TCP
- AWS
- 데이터 파이프라인
- 데이터베이스
- 운영체제
- 파이썬
- linux
- dockerfile
- HADOOP
- 종류
- redshift
- 데이터 웨어하우스
- Today
- Total
목록차이점 (3)
홍카나의 공부방
#include using namespace std;int main(){ cout 두개 다 Hell, World!가 출력되겠지만, 내부 동작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std::endlC++에서 출력 스트림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버퍼를 사용한다. endl(endline)은 출력 스트림 맨 뒤에 줄바꿈 문자를 추가하고, 출력 스트림의 내부 버퍼에 있는 데이터를 모두 비우는 동작(flush)을 한다. std::flushflush는 출력 스트림 맨 뒤에 줄바꿈 문자를 추가하지 않고, 출력 스트림의 내부 버퍼에 있는 데이터를 모두 비우는 동작(flush)을 한다.
docker run은 새로 Container를 실행하는 것이다. docker exec는 실행된 Container에 작업을 할 때 사용한다. (그래서 execute 명령은 Container ID를 매개변수로 필요로 한다.) 두 명령은 모두 --user root 혹은 -u root를 이용하여 root user로 연결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전송 계층에 대해 전체적으로 알아본다. Process to Process, Layer 4 L3가 Host to Host 통신에 초점을 맞췄다면 L4에서는 Process to Process 간 통신에 초점을 맞춘다. 그리고 전송 계층의 TCP에서는 흐름제어, 오류제어, 혼잡제어라는 신뢰성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송 계층에는 UDP도 존재하는데 이는 비연결서비스로 구분되고, 이에 반해 TCP는 연결지향서비스로 구분된다. Port 번호 vs Process 번호 Port 번호라는 개념은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포트 번호는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창구'라고 보면 된다. 하지만 우리가 작업관리자를 보면 Process ID라고 하는, 프로세스 번호가 있는데 왜 굳이 Port 번호를 이용하는 것일까?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