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파이썬
- 데이터 엔지니어링
- http
- AWS
- HADOOP
- 정리
- 컴퓨터네트워크
- sql
- 종류
- 데이터 파이프라인
- 자료구조
- dockerfile
- airflow.cfg
- 컴퓨터 네트워크
- Django
- 데브코스
- redshift
- 가상환경
- TIL
- Docker
- 데이터 웨어하우스
- PYTHON
- S3
- TCP
- 운영체제
- 데이터엔지니어링
- linux
- 데이터베이스
- Go
- airflow
- Today
- Total
목록포트번호 (2)
홍카나의 공부방

이번 글에서는 전송 계층에 대해 전체적으로 알아본다. Process to Process, Layer 4 L3가 Host to Host 통신에 초점을 맞췄다면 L4에서는 Process to Process 간 통신에 초점을 맞춘다. 그리고 전송 계층의 TCP에서는 흐름제어, 오류제어, 혼잡제어라는 신뢰성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송 계층에는 UDP도 존재하는데 이는 비연결서비스로 구분되고, 이에 반해 TCP는 연결지향서비스로 구분된다. Port 번호 vs Process 번호 Port 번호라는 개념은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포트 번호는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창구'라고 보면 된다. 하지만 우리가 작업관리자를 보면 Process ID라고 하는, 프로세스 번호가 있는데 왜 굳이 Port 번호를 이용하는 것일까? (1..
포트스캐닝(Port Scanning)이란 특정 시스템 혹은 네트워크에서 어떤 포트가 열린 채로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는지 알아내는 과정이다. 포트별로 직접 접속하여 스캔하는 방식인 TCP Connect scan을 Python으로 구현해보자. 이는 대상 시스템에 로그 엔트리를 생성하기 때문에 가장 일반적인 포트 검색 유형이자 네트워크 침입에 사용되는 포트 검색 유형 중 하나다. # do port scanning on localhost import socket def scan_ports(host, start_port, end_port): open_ports = [] for port in range(start_port, end_port): print(port) sock = socket.socket(socket...